부모님이 세대 분리(주소지가 다름) 되어 있어도, 자녀가 실질적으로 부양하고 있다면 **연말정산 기본공제(150만 원 공제)**를 받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다음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✔ 부모님이 만 60세 이상 (196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)
✔ 단, 장애인 부모님은 연령 상관없이 가능
예시) 1962년생 어머니 → 공제 가능
예시) 1965년생 아버지 → 연령 기준 미충족, 공제 불가
✔ 부모님의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
✔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 이하
✔ 금융소득(이자·배당) 포함 시 소득금액 100만 원 초과하면 공제 불가
📌 TIP: 국민연금은 비과세 소득이므로 포함되지 않지만, 기타 연금소득(공무원연금, 사학연금 등)은 포함됨
✔ 부모님이 따로 살아도 자녀가 실질적으로 부양하고 있어야 함
✔ 부양 증빙 자료 필요 (생활비 송금,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등)
📌 TIP: 형제·자매가 공동으로 부양하는 경우, 한 명만 기본공제 가능!
부모님 공제를 받을 사람을 가족 간에 조율해야 함
✅ 필요 서류
📄 부모님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(부모님과의 관계 확인)
📄 부양 증빙 서류 (생활비 송금 내역,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내역 등)
📄 부모님 소득금액증명원 (국세청 홈택스에서 발급 가능)
✅ 신청 방법
1️⃣ 회사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
2️⃣ 국세청 홈택스에서 필요한 서류 다운로드 후 제출
3️⃣ 추가 증빙이 필요한 경우, 부모님 계좌로 송금한 내역 등을 회사에 제출
📌 TIP: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면 부양 사실 입증이 쉬워지고, 추가 공제도 가능할 수 있음
🚨 부모님 소득이 100만 원 초과 시 공제 불가
🚨 형제·자매가 함께 부양하는 경우, 한 명만 공제 가능
🚨 부모님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인 경우, 공제 어려울 수도 있음
📌 꼭 확인하세요!
- 부모님이 임대소득·연금소득·이자소득 등이 있는 경우, 총 소득을 확인해야 함
- 부모님이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, 기본공제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 높음
✔ 부모님이 만 60세 이상, 소득 100만 원 이하, 실질적 부양을 증명하면 공제 가능!
✔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면 부양 증빙이 쉬워짐
✔ 서류를 꼼꼼히 준비해 연말정산에서 세금 환급 혜택을 받자!
📌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?
✅ 국세청 홈택스 (https://www.hometax.go.kr)에서 서류 확인하기
케이뱅크 돈나무 키우기 최대 10만원 지급 (1) | 2025.04.02 |
---|---|
무한도전 마라톤 Run with 쿠팡플레이 신청 방법 및 대회 개요 (1) | 2025.04.01 |
절세 혜택 끝판왕! ISA 계좌 100% 활용법 (0) | 2025.03.06 |
선풍기를 틀고 자면 죽는다고? 진실과 오해 풀어보기 (1) | 2025.02.22 |
삼성증권 mPOP 환전하는 방법 2분이면 끝 (0) | 2021.02.23 |